[ADsP 합격 후기] 인문학 전공자의 10일 공부 80점 자세한 현실 공부법
역대급 불난이도였던 44회 ADsP !
보통 간이 모의고사로는 30분 내에 다 풀고 끝낼 정도 수준이었는데 44회는 진짜 핵불난이도라 1시간 30분동안 꽉채워 교실을 나가지 않는 수험생이 대다수였을 정도로,,,,, 뒤통수를 맞은 시험이었다.
그럼에도 약 10일 공부하여 턱걸이 60점을 훌쩍 넘긴 80점으로 합격을 할 수 있어서 !!! 넘 다행이고 어려워진 시험을 대비하여 내가 했던 공부방법을 좀 남겨보려구 한다.
https://www.dataq.or.kr/www/sub/a_06.do
데이터자격검정
데이터자격검정, 빅데이터분석기사, DAP, DAsP, SQLP, SQLD, ADP, ADsP
www.dataq.or.kr
시험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위의 링크에서~!
1) BASE 베이스
시험을 치기 전 나의 베이스라고 한다면
- 시험을 무려 3년간 미뤄온 케이스
- 뼛속까지 인문학 전공자로 데이터와 IT에 대한 지식이 0에 수렴하는 상태
정돋가 되겠다... 자기계발 삼아 치려는 시험을 접수만 3번하고 (이중한번 취소)
공부는 한 번도 하지 않은 게으름 최강,,
2) 공부기간 및 사용 교재
공부 기간 : 10일
일 평균 공부시간 : 3시간
사용교재 : 이지패스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2021 [미어캣 교재]
+ 유튜브 아답터 님의 2시간 무료강의 + 유료 프린트물
분명히 개정된 사항이 있을 텐데,, 다시 사기 뭔가 좀 그래서 2021 교재로 개념만 훑자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강의를 보면 되지 않나??? 라는 판단이었다
결론적으로 옛날 교재 ?
이걸로 공부해도 아무런 문제 없음
3) 공부 프로세스
10일 분배 😃
* 1~2일차 : 기본 개념서 그냥 훑으며 2회독
* 3~4일차 : 어댑터님 2시간 요약강의 들으면서 기본 개념서랑 대조해가면서 암기 방식 터득 (데이터분석 실습 부분도 70%이해 권장)
* 5~6일차 : 본격적인 주입식 암기
* 7~8일차 : 교재 안에 있는 실전 모의고사 풀고 선택지까지 꼼꼼하게 오답풀이
* 9~10일차 : 앱에서 제공하는 실전 모의고사 풀 수 있는 한 많이 풀기 (오답은 3과목 위주로 80% 배분)
여기서 핵심은!!! 아래와 같다. 3박자가 어느정도 갖춰져야 모의고사에서도 점수 안정권이 나오더라...
머릿속에서 개념 카테고리 분류 + 암기할 부분은 정확히 암기 + 어렵고 까다로운 데이터모형은 암기가 아니라 최대한 이해
4) 1~2일차 : 목차에 주목하기
경영학도 이공계도 아닌 나같은 문과생은 데이터 세계에 발 들이는 것조차 힘겹다
최대한 용어에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목차 분석이 필수이다
어떤 개념을 시험에 담고자 하는지 감이라도 잡는걸 초기 이틀의 목표로 잡으면 된다.
데이터가 뭔지 -> 빅데이터가 뭔지 -> 분석 방법으로는? ->더 세부적이고 현대적인 데이터 마이닝
이런식으로 개념을 가지치기 하면 나중에 외우기가 훨씬 수월해지는 걸 느낄 수 있다.
5) 3~4일차 : 요약강의는 필수!!!!!!!!!
다른건 몰라도 2시간으로 잡는 요약강의는 집중해서 들어야한다.
이번 고난이도 시험 기조에서는 이것만으로는 힘들었다는 평도 있지만 , 나의 경우에는 요약강의로 진짜 중요한 개념들이 뭔지 확실히 다잡을 수 있었고 무엇보다 암기법을 쉽게 알려줘서 이것만으로도 pdf 구매의 가치가 충분히 있었다.
다만, 개념서에 있지만 요약에는 없는 내용들도 있기 때문에 대조해가면서 추가로 필기가 필요한 부분은 포스트잇과 구석탱이에 채워줬다.
시험장에 들고갈 단권화 요약노트를 만들어가는 과정~
이 과정은 모의고사 반복풀이 할 때까지 쭈욱 이어진다.
6) 5~6일차 : 암기,,,,닥치고 암기,,,고통스러워도 좀 참기
자격증 시험은 어쩔 수 없이 암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해를 못해도 암기만 해도 합격권에 들 수도 있다. 어느정도는..?
다만..!
고통스러웠던 것은 수학적 공식 암기가 아니라 오히려 국어스러운 절차 암기였다.
말장난 그잡채
예를 들면 이런 절차
프로젝트 위험계획 수립은 분석기획에 포함되고
데이터 준비에는 스토어 설계랑 정합성 검정도 포함되고 이런 자잘한 항목들의 철저한 암기가 필요한 문항이 꽤나 있다.
머리로 이해하면 시험에서 99%의 확률로 헷갈리기 때문에 외울 부분은 확실히 짚고 암기해야한다.
이런 한 문제가 과락을 살릴 수 있다는..
7) 마무리 : 모의고사 반복 풀이 (단 , 3과목에 시간 할애 80%)
만약 내가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싶으면 마무리 기출 풀이 시간은 3과목만 공부하길 추천한다
합격의 당락은 여기서 결정된다. 1~2과목은 어렵게 내도 꼬아 낼 수 있는 부분이 한정되어 있다.
우선 교재 안에 있는 모의고사 3회분을 먼저 풀었다.
외웠다고 생각했는데 비가 내리는 광경.jpg
20번까지가 2과목이니 여기는 기출 풀이 샤샤샥 빨리 하고 3과목만 오답풀이 개열심히 했다
헷갈리는 개념은 요약서 보면서 다시 잡고 필기하고 다시 문제로 돌아가고 무한반복
이렇게 3회쯤 하다보니까 가.닥.이 잡히는게 확 느껴진다
각이 나옴....
그리고 이제 시험날까지 이틀동안은 그냥 초집중해서 이지패스 앱에 있는 모의고사 기출을 하루에 집중력이 허용하는 횟수까지 풀어제꼇따..
저렇게 이미지처럼 내가 맞춘 개수랑 총계까지 나오니까 자신감 좀 충전할 수 있고 무엇보다 과거 기출문제는 주관식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단답형을 맞추다보면 심도깊은 학습이 가능하다.
(정보 : 개정ADsP 는 객관식밖에 없어요!!)
하지만,,,,44회 시험은 정말 지금 생각해도 헬 난이도였고 심지어 논란으로 전원 정답 처리한 문제도 잇을 정도로 수험생 사이에서 말도 탈도 많은 시험이었다.
어쨌든 그래도 기초를 단단히 잡은 덕분에 불난이도 빼고 내가 맞출 수 있는 부분은 다 맞을 수 있었고!!!80점이라는 안정권에 도달할 수 있었다
취준생 , 직장인 분들 하루에 2~3시간씩만 투자해서 10일만에 ADsP 합격 가봅시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ㅎㅎ